전체 글 62

RDS DB 데이터 이전(MySQL)

RDS DB이관을 진행했다. 처음 RDS를 생성할 때 너무 신나서 했더니 개발용 RDS를 생성하였고.... r5.large요금을 사용해버렸다... 그 결과 이틀만에 18000원이라는 과금을 하게 되었고... 요금제를 변경하려고 했지만 변경할 수 있는 가장 저렴한 요금제가 t3.micro였다. 큰 차이가 없을 것 같아서 그대로 진행하려했지만 하루에 4천원꼴의 과금이 발생하였고 2주 프로젝트 기간을 생각한다면.... 물론 큰 돈은 아니지만 모의 프로젝트에 그만한 돈을 쓰기 아까웠다. 그리하여 멘토님의 조언대로....DB이관을 결심하였다. 중간에 실수를 하게 되면 다른 팀원들의 개발 환경에 영향을 미칠까 최대한 안하려고 했지만 어쩔 수 없었다. 내가 진행했던 프로세스의 환경은 이러하였다. RDS --> RDS..

Ubuntu에 Spring boot 서비스 등록하기

학교 실습할때 서비스등록은 무조건 해줬던 것 같다. 그만큼 기본이라는 이야기같기도 🤔 그때는 뭔지도 잘 모르고 그냥 하라고 해서 했는데,, 막상 혼자하니 아주 조큼 귀찮다. 하지만 그때로 돌아가도 공부 안할거다^^제성해여 겨슈님.. 이번에는 Ubuntu에 배포된 Spring boot(.jar)에 대한 서비스 등록을 할 것이다. 서비스 등록이란,,, 쉬운 말로 내가 일일이 명령어를 통해 실행시키지 않아도 자기 혼자 알아서 돌아가도록 서비스를 등록하는 것이다. 나는 AWS에 배포를 해 놓은 상황이었고 ssh연결을 끊으면 실행이 불가능했다. ssh연결을 종료하더라도 계속해서 서비스하기 위해 등록과정을 거쳤다. 일단 .service파일을 만들어야 한다. 아무데나 만들면 안되고 /etc/systemd/system..

백준[1764]-듣보잡

문제 너무 웃겨서 빵터졌다.... 알 수 없는 포인트가 너무 웃기닼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코테문제치고 문제가 짧은게 킬포... Hash.getOrDefault() 함수만 잘 사용할 수 있다면 정말정말 쉬운 문제다! import java.util.*;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int listen = sc.nextInt(); int see = sc.nextInt(); HashMap hash = new HashMap(); ArrayList no = new ArrayList(); int sum =0; for(int i=0;i

백준[1417]- 국회의원 선거

다솜이가 국회의원이 되면...큰일날 것 같은데... 정말 문제 그대로 풀면 된다. 1. 반복문을 돌며 다솜이를 포함해서 모든 사람들의 득표수를 살펴서 제일 득표수가 많은 사람을 찾는다 2.제일 득표수가 많은 사람이 다솜이(arr[0])이라면 반복문을 빠져나오고 return 3. 제일 득표수가 많은 사람이 다솜이가 아니라면 그사람의 득표수를 1개 빼오고 다솜이의 득표수를 하나 올린다 (매수하는 사람이 최소가 되게 하기 위해 1씩 이동) (ex. arr[max]-- arr[0]++)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int ..

백준[1654]-랜선자르기

이분 탐색 연습을 위해 푼 문제! 이분 탐색을 알기만 한다면 정말 쉬운 문제이다. 이분 탐색을 한두번밖에 경험해보지 않아서 아직 정확히 감은 오지 않는다. 아직까지의 생각은... 무언가 식을 세우는 것 보다 값을 하나하나 대입해서 답을 찾아야할 때 처음부터 다 찾으면 너무 많은 탐색을 해야하니 반으로 쪼개가며 탐색 횟수를 줄이는 방식인 것 같다.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int num = sc.nextInt(); long result =0; long need = sc.nextInt(); long[] arr = new long[num]; long sum =0;..

REST, REST API란?

이번주는 REST API 설계와 구현을 할 것이다. 무작정 시작하기보단 REST API에 대해서 공부를 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REST 2020년 정보처리기사를 공부하며 익숙해진 단어이다. 실기를 준비하며 외웠던 REST란 uri를 통해 자원을 구분하고 그 자원을 주고 받는 형식이다. 하지만 부족하거나 틀렸을 수도 있으니 정확히 공부해보자! REST는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의 약자로 자원을 이름으로 구분하여 해당 자원의 상태를 주고받는 모든 것들을 의미한다 Uri를 통해 자원을 명시하고 HTTP method를 통해 해당 자원에 대한 CRUD를 적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REST구조는 3가지로 구성이 된다 자원(Resource) - URI 행위 (Verb) - HTTP ..

url로 ip입력시 도메인으로 redirect하기

주소로 ip입력시 도메인으로 redirect하는 과정을 진행해볼 것이다! ip가 1.1.1.1인 인스턴스에 도메인을 적용시킨 이후 ip로 인스턴스를 접근할 때 이를 도메인으로 바꾸는 작업이다. ex) [1.1.1.1 입력 --> abcd.com 으로 자동변경] 정말 쉽다! 서브도메인을 적용시켰던 것 처럼 nginx.conf에 Server{}부분을 추가해줄 것이다. 이전과 동일하게 /etc/nginx/에 redirect.conf라는 파일을 만들고 이를 nginx.conf파일에 include 시켜줄 것이다. redirect.conf의 코드는 아래와 같다. server_name에는 나의 ip를 넣어주고 $scheme://[이동하고자 하는 도메인]$request_uri; 으로 return 시켜준다. 아주아주 간..

AWS Nginx gabia 서브도메인 적용하기

서브 도메인이란 내가 쓰고 있는 도메인을 확장시킨 도메이다 예를들어 내가 abcd.com이라는 도메인을 구입했으면 www.abcd.com, hello.abcd.com 와 같이 비슷한 이름의 도메인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나는 기존에 구입했던 도메인에 www서브 도메인을 적용시킬 것이다. 1.가비아에서 서브 도메인 설정 가비아에서 자신이 구매한 도메인의 설정창을 열어준다 [DNS 레코드 설정 --> 설정] 해당 도메인의 설정 Button 2.AWS Route53설정 가비아에서의 설정이 끝났다면 AWS에서의 설정도 해줘야한다! 우리가 설정하고 있었던 도메인 호스팅에서 CNAME유형을 더 추가해줄 것이다. 값에는 내가 사용하는 도메인의 이름을 써주고 레코드 이름의 빈칸에는 내가 가비아에서 추가했던 호스트 ..

http -> https 바꾸기( http, https차이점)

http를 https로 바꾸라는 과제를 하기전에 http 와 https의 차이점을 간략하게 정리하고자한다. 간략하게 핵심적인 차이점을 말하자면 http에 SSL보안을 더한 것이 https이다. http는 비연결식으로 클라이언트가 요청하면 서버가 응답하는 구조이다. (비연결식하면 떠오르는 UDP) https은 SSL이나 TLS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세션 데이터를 암호화 하여 통신을 한다. 작년에 암호과제에 보조연구원으로 공부할 때 Wireshark에서 지겹도록 본 SSL, TLS.... TLS의 Handshake를 지겹도록 공부했는데....나름의 도움이 된 것 같다. http가 비연결식이라면 https는 연결식이기 때문에 통신을 하기 이전에 handshake 과정이 필요하다. handshake과정을 통해 SS..

카테고리 없음 2021.01.08

AWS EC2 인스턴스에 도메인 연결하기

이전에 만들었던 웹서버에 브라우저로 접속하려면 ip를 입력했어야 했다. 하지만 우리가 웹을 이용하는 과정에서는 ip를 입력해서 웹페이지에 접근하지 않는다! 흔히들 생각하는 웹 주소를 이용하여 웹페이지에 접근하기 위해서 도메인 연결을 해보자 1.도메인 구입 일단 내가 사용하고자 하는 도메인을 사야한다! 나는 gabia를 이용하였다. 내가 구매한 도메인이 abcd.com이라고 가정해보자. 2.Route 53 도메인을 구매한 뒤 AWS route 53에 접속하자. [Route53 -> 호스팅 영역 -> 호스팅 영역 생성] 도메인 이름에는 내가 구입한 도메인을 넣는다 ( ex,위에서 가정한 abcd.com) 설명은 본인이 알아보기 위해 넣는 설명! 사용자들이 접근할 수 있도록 퍼블릭 호스팅 영역을 선택해주자 과..